불안이 삶의 무기가 되는 순간 | 최정우 | 다른상상 |
우리나라는 현재 종교도 세계 경제도 주변 환경도 불안을 해소해 주지 못한다. 문득 문득 불안이 몰려 온다. 취업을 한 사람들은 언제 회사를 그만 둬야 하는지?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들은 어느 직업을 가져야 하는지? 과연 이 길이 정답인지? 라는 고민이 쌓이고 쌓여 불안으로 변해 버린다.
제목처럼 불안이 삶의 무기가 될 수 있을까? |
무기는 아니더라도 불안을 해소하고 싶다. 불안이라는 부분은 어디서 왔을까?
미국 전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우리가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두려움 그 자체다"라고 말했다.
실제 대상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을 대하는 우리의 마음이 더 중요한 것임을 알려준다. 이 책을 통해 불안을 대하는 여러분의 마음이 더 의연 해지고 튼튼해지기를 소망한다.
두려움은 실체가 없다. 두려움은 나에게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나를 알고 적을 알면 100전 100승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알고만 있는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두려움의 모양을 찾는게 우선이다. 나의 두려움은 어디서 부터 왔을까? 이 질문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전에 몸을 이완부터 하자. 충분한 휴식과 수면이 필요하다.
"우리는 파도를 막을 수는 없지만
서핑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미국 정신건강 전문가 존 카밧진의 말이다.
그의 말처럼 우리가 파도처럼 밀려오는 불안감을 막을 수는 없지만 서핑하는 방법을 배우듯 심리학을 통해 불안을 다루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우리는 두려움을 막을 수는 없지만, 두려움을 다루는 법을 배울 수는 있다.
불안은 습관으로 온다는 말을 한다. 이 습관은 자신도 모르게 불안이 나를 잠식시키고 있다. 자신도 모르게 완벽주의자가 되어 있다. 완벽하지도 못하면서 완벽해 지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돈을 주고 파는 윈도우도 어느 순간 블루스크린을 보여주면서 부끄러워 한다. 완벽함과 실수를 하지 않으려고 하는 부분에서 두렴움이 꿈틀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자신을 용서하고 완벽하지 않으려 노력 해야 한다.
불안도 습관 일 수 있다. 시험 보는 날이면 항상 배가 아픈 사람이 있다. 긴장을 하면 화장실에 가고 싶은 마음이 더 든다. 미국 영화의 특전사들은 낙하산 하나에 의지해서 적진에 들어 간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의 영화에 101공수부대에 윈스터 대위가 적진에 들어가면서 말한다. 공수 부대이기에 포위 되는것은 당연하다고 이야기 한다. 포위 될 줄 알면서 들어가는 용기 현실을 직시 하는 모습이다.
군인들은 두려움이 없을까?
수 많은 연습과 학습에 의해서 두려움보다 임무에 집중을 한다. 죽음을 알면서 불속으로 뛰어 드는 것이다. 우리의 두려움은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 아닐까? 5미터만 가면 결승선이다. 5미터를 가지 못하고 멈추면 결승선에 갈 수 없다.
지금에 집중하니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거의 느끼지 않는다. 불확실한 미래에 집중하지 않으니 당연한 결과다. 이처럼 우리는 불확실한 미래보다 확실한 현재에 집중함으로써 불안감을 낮출 수 있다.
너무 미래에만 집중하는 것은 10년 뒤 오늘의 날씨를 정확히 맞추려고 하는 것과 같다.
아무리 뛰어 난 기상학자라고 한들 10년 뒤의 날씨를 어떻게 맞출 수 있겠는가?
'10년 뒤 어떤 날씨가 되든 나는 그날의 날씨에 만족하며 하루를 살겠다'고 마음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미래로부터의 불확실함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 그렇게 불안감에서 해방될 수 있다.
"오늘은 선물(Present)이다.
그래서 이를 '현재(Present)'라고 부른다."
미국의 만화가 빌 킨이 한 말이다.
또 생각한다. |
현재의 선물에 집중 하는것이 중요한 부분이라는 생각을 한다. 충분한 휴식을 통해서 그리고 목적이 있는 삶을 만든다. 최근 이직을 근심하면서 연봉 협상이 잘 되지 않았다. 회사는 당연히 적게 주는것이 목적이다. 나는 알아서 잘 챙겨 주리라 생각한 것이 문제이다. 주던 주지 않던 내가 받고 싶은 금액을 이야기 하는 부분이 필요 했다. 마음이 상하면 가지 못하는 것이다. 나의 마음은 그 누구도 알 수 없지 않은가?
다시 한번 나에게 집중하고 나에게 또 다른 기회가 온다면 그때는 명확하게 이야기 하리라. 그러기 위해서 현재에 충실하고 나의 꿈은 지구정복이다. 목표는 숨만 쉬어도 돈이 들어오는 구조를 만들고 싶다. 후~하~ 후~ 하~~~ 이재용 부회장의 배당금을 보면서 숨만 쉬어도 들어 오는 돈이 3천억이라고 한다. 내 생에 그렇게 큰 돈이 들어 올 것이다. 지구정복을 하면.
'BOOK > 책읽고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읽기] 아침의 재발견 (3) | 2025.02.19 |
---|---|
[책읽기][시리즈] 지리의 힘 - 미국 (0) | 2025.02.15 |
[책읽기] 노후에 혼자 사는 지혜 (5) | 2025.02.09 |
[책읽기] 브랜드 검색 마케팅 (19) | 2025.01.26 |
[책읽기] 결정의 기술 (0) | 2025.01.12 |
댓글